본문 바로가기
정보

유비벨록스 주식 리포트 : 스마트카드의 신규시장 개척

by LIKEANT 2024. 7. 15.
반응형

스마트카드의 다양화

유비벨록스의 주력 제품인 스마트카드는 IC chip은 신용카드를 비롯한 다양한 카드에 활용, 부착되어 정보 저장, 보안성 강화를 통해 활용되는 제품이다. 특 히 최근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저장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스마트 카드 시장은 연간 약 1.2억장이 발행되는 시장이며 동사가 30%대의 M/S로 1위 유지하고 있다. 단가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카드는 장당 1,000원 수준이며 고가의 하프메탈 카드는 3만원, 풀메탈 카드는 10만원에 달할 정도 로 가격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익률이 높은 고가의 카드 비중이 높아지는 것 이 중요하다. 동사도 고부가가치 카드 중심으로 시장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이 에 대한 결실이 올해부터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신제품 메탈카드와 BLE카드를 통한 중기 성장 유효

현재 고부가가치 카드로 준비된 것은 메탈카드와 BLE카드이다. 메탈카드는 작 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제품으로 주로 해외 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적이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1.5만장 수준에서 올해 10만장 수준으로 증가할 것 으로 기대됨에 따라 실적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BLE(Bluetooth Low Energy)카드는 저전력 블루투스 카드로 Chip이 블루투스 를 통해 핸드폰 및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을 통해 위치 확인 등의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동사는 7/3일 삼성전자, KB국민카드, 아멕스 3사와 협업을 통해 삼성전자의 Smart Things 플랫폼에 연동하는 BLE카드를 공급한다고 발 표했다. 초기에 가장 큰 레퍼런스를 확보함에 따라 적용처가 더욱 확대될 것으 로 판단된다. 더불어 기존 스마트카드 시장과는 다른 전방산업으로 확장, 스마 트 트래커 시장이 개척됨에 따라 중장기 성장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회사 실적 급성장에 별도도 성장세 지속

올해 자회사의 실적도 급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봇청소기는 2Q에 7.5만대 판매가 예상되며 연간 25만대 판매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가가 높은 신 규제품 비중이 높아지면서 작년 2,000억원 규모에서 올해 3,5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랙박스의 부진이 아쉬운 부분이지만 패달용 블랙박 스 이슈 외에도 영업력 강화를 통한 제조업체 확장으로 회복세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본업에서는 단가가 높은 메탈카드 매출이 확대됨에 따라 별도 영업이익 161억원이 전망된다. 올해 연결 실적은 매출액 6,879억원(YoY +26.5%), 영업 -20 이익 652억원(YoY +32.1%)로 전망된다.

 

아래로 가시면 500개 기업의 더욱 상세한 분석과 주가전망, 목표가, 투자등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