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대한민국 연령 및 나이별 평균 연봉

by LIKEANT 2022. 7. 28.
반응형

보통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연봉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경험이나 기술 등의 노하우가 축적되지 않는 단순 노동 산업군이나 실적 정산 방식으로 연봉이 책정되는 산업군에 있다면 해당사항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택배 배송 업무의 경우 얼마나 많은 배송량을 처리하느냐가 연봉의 기준이 되지 경험이 많다고 연봉을 많이 주진 않는다. 따라서 본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의 연령 및 나이별 평균 연봉이 얼마나 되는지 상승률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령 및 나이별 평균 연봉

 임금 직무 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50세까지는 꾸준히 연봉이 상승하다 51세부터는 연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까?

 

  1.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고임금을 받을 수 있는 고위험, 고강도 노동의 종사자 수 감소
  2. 임금 피크제로 인해 55세 이후 임금 삭감
  3. 40대 후반 이후로 대기업 희망, 명예퇴직자 급증

 

 

 그리고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20세 미만 연령대의 평균 연봉이 무려 2,200만 원이라는 것이다. 이제 겨우 중고등학생의 연봉 수준이 2,200만 원이라는 것이 매우 놀랍지만, 사실 그렇게 놀라운 일은 아니다.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이 2023년 9,620원으로 책정되었다. 해당 시급을 기준으로 최저 월급을 계산해  보면 약 210만 원, 연봉으로는 2,520만 원이다.

 

 즉, 아무리 학생이라고 할지라도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는 아르바이트로 근무시간을 충분히 채운다면 최저 받을 수 있는 연봉은 2,520만 원이다. 이런 현상이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최저 노동의 시간당 가치를 9,620원으로 강제로 정부가 정함으로써 시장에서는 9,620원 미만의 일자리는 사라졌다. 노동가치 9,620원 미만의 산업군에서 직원을 고용하면 적자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미 대다수의 산업군에서 키오스크, 로봇 등으로 아르바이트 인력을 대거 대체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최저임금이 인상될수록 가속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로봇과 기계는 주휴수당을 요구하지도 않고 퇴직금을 요구하지도 않으며 쓸데없는 감정 소비를 할 필요도 없다. 끊임없는 전기 공급과 정해진 시기에 맞춰 부품 교체 및 정비만 필요할 뿐이다.

 

 즉, 최저임금의 인상은 인간이 제공하는 노동력의 범위를 대폭 제한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누구는 시급 6,000원, 8,000원의 일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시장에서 시급 9,600원 미만의 일자리는 외부의 힘에 의해 전부 소멸되고 말았다. 아무리 단순하고 쉬운 일이라도 9,600원의 최소 가치가 인위적으로 주어졌기에 노동 가치에 따른 자연스러운 인력 배분과 경쟁이 부자연스럽게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혹시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평균 월급 및 근무 시간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길 바란다.

 

직장인 평균 월급, 연봉 및 근무 시간

우리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꼽으라고 한다면 1, 2위를 다투는 것이 연봉과 근무 시간일 것이다. 그만큼 우리에겐 돈과 시간이 중요하며 다른 사람의 월급과 근무시

funmoney.tistory.com

마무리

 단순히 월급에 의존하며 살기엔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고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월급 외에 자기만의 수입원을 다양하게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 방식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사업, 부업, 주식,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기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골라 엄청난 노력을 통해 부를 추가적으로 창출해 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삶의 질이 바뀌기 시작한다. 배달비를 고민하지 않고 주문을 하게 되며, 숙소를 예약할 때 가격을 고려하지 않는다. 만약 주식, 금융을 통해 삶의 질을 바꾸고 싶다면 내가 운용하는 경제, 주식 블로그에서 공부를 시작하길 바란다. 테마, 작전, 급등주로 주식을 시작한 사람들은 주식시장에서 퇴학 번호표를 받아 놓은 것과 다름없다. 정석적으로 기업 분석과 시장 흐름 분석을 통해 천천히 자산을 늘려나가는 법을 배우고 싶다면 이만한 곳이 없다는 것을 자부한다.

 

LIKEBEE의 경제, 주식 분석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