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무원 주무관 급수, 연봉, 승진 소요 기간 및 한계 정보

by LIKEANT 2022. 6. 11.
반응형

주무관이란?

 주무관은 공무원 중 6급부터 9급까지를 총칭하는 명칭입니다. 5급부터는 사무관, 4급은 서기관 등으로 별도의 명칭이 있지만 6급부터는 주무관님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사실상 공식 명칭은 아니며 주무관의 사전적인 뜻은 '특정 사무를 주도하여 맡는 관리'라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주무관의 상세 급수는 어떻게 되는지?, 연봉은 얼마나 받는지? 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저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무관 급수

  • 6급 : 주사
    6급에 해당하는 공무원들은 주사라고 합니다. 공무원 주무관 중에서 가자 높은 급수이며, 만약 본인이 9급 공무원 공채에 합격했다면 6급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8~20년입니다. 따라서 9급부터 공무원들을 시작하신 분들은 대부분 5급 사무관이 최종 승진 한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7급 : 주사보
    7급에 해당하는 공무원들은 주사보라고 합니다. 8급에서 7급으로 승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7년의 시간이 소요되며, 9급에서 7급까지 승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8년~10년입니다. 보통 7급 공채로 들어오시는 분들은 보통 4급 서기관 까지는 승진하고 퇴직하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8급 : 서기
    8급에 해당하는 공무원들을 서기라고 부르며 9급에서 8급으로 승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3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9급 : 서기보
    9급에 해당하는 공무원들을 서기보라고 부르며 공무원 중 제일 급수가 낮습니다.

승진 기간에 대해서는 아래 다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연봉

위의 공무 원표를 보면 해당 급수 및 호봉에 따라 월급액이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저 표를 있는 그대로 믿을 만큼 순진하지 않습니다. 공무원들은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및 실적, 상여 등 종류만 50개가 넘어갑니다. 9급 1호봉의 경우 월급이 168만 원으로 나와있지만, 기본으로 추가 지급되는 수당 포함 최소 200만 원이며 본인의 근무 상황이나 실적에 따라 220~240까지도 충분히 받을 수 있습니다.

3. 승진

 공무원 공채 시험은 9급, 7급, 5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본인이 시작하는 급수에 따라 승진의 한계점도 결정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 시작 급수별로 승진 한계점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9급 시작 → 5급 퇴직
  • 7급 시작 → 4급 퇴직
  • 5급 시작 → 한계 없음(본인의 처세 및 실력에 따라 차관까지도 가능)

 

4.  승진기간

승진 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며, 본인의 실력 및 처세에 따라 남들보다 빠르게 승진하는 케이스도 있고, 그냥 세월이 흘러 자연스럽게 근속에 따라 승진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아래 표에 나와있는 최저 소요기간은 말 그대로 이론적인 계산일 뿐, 현실에서는 일반적으로 나오기 힘든 상황이라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